2022 개정 교육과정에 2024년부터 적용됩니다. 단계별 적용이니 아래 내용 한 번 확인해주세요.
교육과정 총론에서 학교 자율시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.
학교는 3-6학년별로 지역과 연계하거나 다양하고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학교자율시간을 편성, 운영한다.
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 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. 그런데 학교자율시간 편성은 학교에서 실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편성한 학년별 총 수업 시간수를 기준으로 편성합니다. 아래 예와 같이 학년 총 수업 시수를 34주로 나누면 학기별 1주 수업 시수가 나옵니다. 그 수업 시수를 한 학기에 운영하면 됩니다.
그럼 대략적으로 1학기 기준으로 3-4학년은 29-30시간 정도이고 5-6학년은 32시간 정도입니다.
처음과는 다르게 많은 변화를 겪었고 다음과 같이 거의 최종 확정되었습니다.
단위 학교에서는 3-6학년 중 한 학기 이상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.
즉 단위 학교에서 3학년 1학기에만 학교자율시간을 운영하기로 했다면 나머지 학년 및 학기에서는 학교자율시간을 운영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입니다.
처음에는 3-6학년 모든 학년 모든 학기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방침이 안내되었습니다. 그리고 2023년도 중반 즈음에는 한 학년만 운영해도 된다고 방침이 바뀌어 안내되었는데, 이제는 한 학기만 운영해도 된다로 변경되었습니다. 아마 이게 최종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.
만약 3학년 1학기에 운영했다고 한다면 29시간을 1학기에만 운영해야 합니다. 1학기에 15시간, 2학기에 14시간 등으로 나누어서 운영할 수 없습니다. 반드시 한 학기 내에 운영해야 한다고 합니다. 2학기에 걸쳐 운영하고 싶다면 1, 2학기 각각 29시간씩 편성해서 운영해야 합니다.
2022 개정 교육과정, 초등 수학과 개정 (77) | 2024.01.16 |
---|---|
2022 개정 교육과정, 초등 국어과 개정 내용 알아보기 (95) | 2024.01.15 |
교권보호 4법 (교권보호와 강화를 위한 교권회복 4법) (90) | 2024.01.11 |